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4대보험 납부내역 확인방법 총정리 (2025년 최신)

by namdd 2025. 5. 2.
반응형

 

 

목차

1. 4대보험이란?

4대보험은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을 말합니다. 근로자와 사업주는 법에 따라 이 보험에 가입하고 보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.

2. 납부내역 확인이 필요한 이유

4대보험 납부내역은 연말정산, 종합소득세 신고, 대출 신청, 이직 시 경력 증명 등 다양한 상황에서 필요합니다. 정확한 납부내역을 확인하여 불이익을 방지하세요.

 

반응형

3. 납부내역 확인 방법

3.1 국세청 홈택스 이용

국세청 홈택스에서는 4대보험 납부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.

  1. 홈택스(www.hometax.go.kr)에 접속합니다.
  2. 로그인 후 '조회/발급' 메뉴를 클릭합니다.
  3. '세금신고납부' > '연금·건강·고용·산재보험료 조회'를 선택합니다.
  4. 조회 기간을 설정하고 납부내역을 확인합니다.

※ 2025년 5월 1일부터 2024년 납부내역 조회 가능. :contentReference[oaicite:4]{index=4}

3.2 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 이용

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에서는 4대보험 고지 및 납부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1. 포털(si4n.nhis.or.kr)에 접속합니다.
  2. 로그인 후 '고지내역조회' > '보험료 고지/납부현황'을 선택합니다.
  3. 보험 종류와 조회 기간을 설정하여 납부내역을 확인합니다.

※ 사업장 회원은 '산출내역서(개인별조회)'를 통해 상세 내역 확인 가능. :contentReference[oaicite:5]{index=5}

3.3 정부24 이용

정부24에서는 4대 사회보험료 납부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
  1. 정부24(www.gov.kr)에 접속합니다.
  2. 로그인 후 '민원서비스' > '4대 사회보험료 납부확인서'를 검색합니다.
  3. 신청서를 작성하고 필요한 기간을 설정하여 발급받습니다.

※ 발급된 확인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에서 발급한 것과 동일한 효력을 가집니다. :contentReference[oaicite:6]{index=6}

4. 자주 묻는 질문(FAQ)

Q. 4대보험 납부내역은 언제까지 확인할 수 있나요?

국세청 홈택스에서는 매년 5월 1일부터 전년도 납부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.

Q. 납부확인서와 납부내역 조회의 차이는 무엇인가요?

납부확인서는 공식 문서로 발급되어 제출용으로 사용되며, 납부내역 조회는 온라인에서 확인만 가능한 서비스입니다.

Q. 모바일로도 확인이 가능한가요?

네, 국세청 손택스 앱을 통해서도 4대보험 납부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.

반응형